본문 바로가기

사회

살충제 계란 또 나와 “검사 후 살충제 뿌렸거나, 검사오류”

반응형

살충제 계란 또 나와 검사 후 살충제 뿌렸거나, 검사오류

 

살충제 계란 검사 이후, 살충제 계란이 잇달아 검출

전수점검 이후, 살충제 뿌렸거나 전수 검사 잘못...

 

살충제 계란


살충제 계란으로 이미 국민들은 계란이 들어간 음식에 큰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지난달 정부의 산란계 농장 전수 검사에서 적합판정을 받았던 농장에서 또다시 살충제 계란이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살충제 계란 파동 이후에도 농장들이 살충제를 사용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대목이다. 당국은 원인 파악을 위해 역학 조사에 착수했다고 한다. 그런데, 과연 국민들은 이제, 정부의 역학조사조차 믿기 어려워 진 형국이다.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경기 여주시의 안병호 농장에서 생산돼 유통 중이던 맑은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인 비펜트린이 기준치(10.01)보다 초과 검출(10.04)된 것으로 서울시 검사 결과 나타났다고 한다.

 

정부당국은 이 농장에서 생산된 계란을 전부 추적해 유통을 막기로 했다고 한다. 살충제가 나온 계란은 산란일이 지난 3일로 껍데기에 ‘08계림이라고 쓰여 있다.

 

살충제 계란

그런데, 금번 살충제 계란이 나온 농장은 지난달 15~18일 나흘 간 농림축산식품부가 전국 산란계 농가 1,239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수 검사에서 살충제가 검출되지 않았던 곳이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앞서 적합 판정을 받았던 경북 김천시와 경남 양산시 소재 농장 두 곳에서도 지난 4일 살충제 계란이 나온 바 있었다. 당국이 살충제로부터 안전하다고 판정한 농장에서 살충제 계란이 잇달아 나오고 있는 것은 정말 이해하기가 곤란한 상황이다.

 


전수 검사 이후에도 살충제 계란이 잇달아 검출되고 있는 이유로 농장 측이 전수 점검 이후에 살충제를 뿌렸거나 이전에 살충제를 뿌렸는데 전수 검사가 잘못됐을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비펜트린은 닭에 사용하는 것이 허용된 살충제 성분으로 살포 자체가 불법은 아니지만 닭에 직접 뿌리면 안 되고, 빈 닭장에만 살포해야 한다. 또 살포 이후엔 닭장을 세척한 뒤 닭을 집어 넣어야 한다.

 

살충제 계란


식약처 관계자는 살충제를 닭에 직접 뿌리지 않았더라도, 살포 후 닭장 세척이 잘 안 됐다면 닭이 살충제에 오염될 수 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해당 농장에 대한 역학 조사를 실시해 검출 원인을 파악하고, 적합 농장을 비롯한 전체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연말까지 불시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언제까지 이런 살충제 계란 때문에 온 국민이 불편을 겪어야 할지 모르겠다. 당분간은 어찌되었던, 계란을 먹는 것을 자재하는 것이 나을 듯 보인다. 살충제가 없다고 판정한 계란에서 연이어 살충제 계란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기에 안 먹는 방법밖에는 특별한 대안이 없어 보인다.


살충제 계란


반응형